본문 바로가기

[여적] 사설(社說) 황성신문에 ‘시일야방성대곡(是日也放聲大哭·이날 목놓아 통곡하노라)’이란 제목의 사설이 실린 것은 1905년 11월20일로, 을사조약이 체결된 지 사흘 만의 일이다. 지금이야 많이 느리다 하겠지만 전근대 사회치곤 꽤 속보 아니었나. 그런 만큼 사설 속 울분의 정신은 급속도로 전파돼 국민적 궐기를 촉발했다. 사장 겸 주필 위암 장지연은 사전 검열을 받지 않은 채 이 사설을 톱으로 실었다. 언론인 김호준이 쓴 에 따르면 황성신문과 서재필의 독립신문 등이 대사설의 시대를 열었다. 그는 한국의 대사설 시대는 4·19혁명을 전후해 절정을 이루고 퇴조했다고 본다. 사설이 민중을 상대로 사자후를 토하던 ‘지사(志士)의 시대’는 가고, 차분한 목소리로 실질을 외치는 ‘전문가의 시대’가 왔다고 했다. 파행 발행되고 있는 .. 더보기
그런 대통합은 없다 정치 지도자치고 통합을 꿈꾸지 않는 이 있을까. 이승만은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는 말을 남겼다. 박정희는 국민 총화(總和)란 말을 즐겨 썼다. 총화는 ‘전체의 화합’으로 통합과 비슷한 뜻이다. 그 뿌리가 일제란 설도 있지만 그는 자나 깨나 국민의 총화와 단결을 주술처럼 외웠다. 박근혜 대통령도 통합에 관심이 많다. 엊그제 대통령 소속 국민대통합위원회 민간위원 18명 인선을 발표했다. 지각 인선인 데다 규모 축소, 위원 면면으로 보아 대통령의 대통합 의지가 후퇴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위원 절반이 대선 때 새누리당 캠프에 몸담거나 박 후보 지지를 선언한 인물들이다. 이런 인적 구성을 갖고 지역·세대·계층·이념 갈등을 해소할 수 있을까. 이명박 전 대통령의 전례가 있다. MB정부는 2009년 말 대통.. 더보기
[여적] 1984의 세계 조지 오웰의 소설 에서 사람들은 하루 스물네 시간 텔레스크린의 감시를 받으며 산다. 텔레스크린은 오세아니아의 전체주의 체제 유지를 위한 중요 수단이다. 수신과 송신이 동시에 되며 아무리 작은 소리도 낱낱이 포착한다. 일거수일투족이 다 보이고 들리는 것이다. 사람들은 항시 자신의 말과 동작이 도청, 감시당하고 있다고 생각하며 살아야 한다. 는 디스토피아적 미래 세계를 예언한 소설로 수도 없이 인용돼 왔다. 최근 미국에서 터진 비밀 정보수집 프로그램 ‘프리즘’ 파문은 다시금 의 세계로 우리를 이끈다. 그만큼 소설은 촘촘한 감시망이 얽혀 있는 현대 사회를 기막히게 예견하고 있다. 미국 국가안보국(NSA)이 ‘프리즘’을 운용해 온 사실은 내부고발자랄 수 있는 에드워드 스노든(29)의 폭로로 세상에 알려졌다. 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