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적] 오바마의 궤변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외교공관들에 대한 국가안보국(NSA)의 전방위적 도청에 대해 “다른 나라들도 하는 행위”란 인식을 드러냈다. 그는 탄자니아 방문 중 기자회견에서 “유럽이든, 아시아든 정보기관은 이 세상을 더 잘 이해하고 싶어 하고 언론에 공개된 정보 이상의 통찰력을 얻기를 원한다”며 “그게 아니라면 정보기관이 왜 필요하냐”고 말했다. ‘미국이 정보를 모으는 방식’에 대해서는 “그런 거라면 전 세계 어느 정보기관이든 하고 있는 방식”이라고 밝혔다. 도청은 미국만이 아니라 다들 하는 것이란 투다. 그는 지난달 초 에드워드 스노든이 비밀 감시 프로그램 ‘프리즘’의 존재를 폭로했을 때도 “테러 방지를 위한 약간의 사생활 침해”라고 밝힌 바 있다. 유럽연합(EU) 등 우방국들의 반발을 달래려는 마음이 .. 더보기 [여적] “집권하면…” 신문 같은 데서 접하게 되는 “집권하면”이란 말 다음에는 통상 공약(公約)적 언설이 뒤따르기 마련이다. 이런 식이다. “김대중 대표는 14일 국회 연설에서 ‘민주당이 집권하면 거국내각을 만들어 특정지역의 정당이라는 말이 다시는 나오지 않도록 하겠다’면서 ‘집권하면 거국체제를 통해 1년 내에 정국을 안정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1992년 10월14일 신문 보도다. 같은 해 5월 이런 기사도 눈에 띈다. “정주영 국민당 대표는 12일 기자간담회에서 ‘자본의 집중을 막기 위해 재벌을 해체해야 한다’면서 ‘집권하면 1년간 유예기간을 거쳐 계열기업 간의 상호지급보증 등을 없애는 방법으로 재벌을 해체하겠다’고 말했다.” 보수인사들이 보기에 불온한 “집권하면”도 있긴 하다. 지난해 대선에서 이정희 통합진보당 대표는.. 더보기 [여적] 사설(社說) 황성신문에 ‘시일야방성대곡(是日也放聲大哭·이날 목놓아 통곡하노라)’이란 제목의 사설이 실린 것은 1905년 11월20일로, 을사조약이 체결된 지 사흘 만의 일이다. 지금이야 많이 느리다 하겠지만 전근대 사회치곤 꽤 속보 아니었나. 그런 만큼 사설 속 울분의 정신은 급속도로 전파돼 국민적 궐기를 촉발했다. 사장 겸 주필 위암 장지연은 사전 검열을 받지 않은 채 이 사설을 톱으로 실었다. 언론인 김호준이 쓴 에 따르면 황성신문과 서재필의 독립신문 등이 대사설의 시대를 열었다. 그는 한국의 대사설 시대는 4·19혁명을 전후해 절정을 이루고 퇴조했다고 본다. 사설이 민중을 상대로 사자후를 토하던 ‘지사(志士)의 시대’는 가고, 차분한 목소리로 실질을 외치는 ‘전문가의 시대’가 왔다고 했다. 파행 발행되고 있는 .. 더보기 이전 1 ··· 67 68 69 70 71 72 73 ··· 1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