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적]공안몰이 속 이색판결 이석기 의원 사건부터 교학사 국사교과서 역사 왜곡 논란에 이르기까지 빠지지 않고 끼어드는 것이 공안(公安)이란 개념이다. 공안은 원래 ‘공공의 안녕과 질서가 편안히 유지되는 상태’라는 한가한 뜻이지만, 다른 단어들과 결합하면 사뭇 살벌해진다. 공안사건, 공안정국, 공안몰이, 공안탄압 등 용례가 그렇다. 시국(時局)이란 말도 비슷하다. ‘현재 당면한 국내 및 국제 정세나 대세’란 뜻이지만 시국사건, 시국선언은 뭔가 국가적으로 중차대한 일이 벌어진 것과 관련된다. 바야흐로 공안정국에 공안몰이의 전성시대 같다. 학생이 대학에서 마르크스 경제학을 가르치는 강사를 국정원에 신고했다. 고려대가 표창원 전 경찰대 교수의 강연이 열릴 강당 대관을 정치적 편향성을 이유로 거부했다. 이 학교에선 한 학생이 트위터에 교내 .. 더보기 [여적]색깔론의 희극적 반복 역사가 반복된다는 게 맞긴 맞나 보다. 1994년 7월18일 김영삼 대통령과 전국 14개 대학 총장의 청와대 오찬에서 박홍 서강대 총장은 “주사파가 생각보다 대학 깊숙이 침투해 있으며, 주사파 학생 뒤에는 사노맹이 있고, 사노맹 뒤에는 사로청, 그리고 사로청 뒤에는 김정일이 있다”는 충격적 발언을 했다. “주사파들이 대학 안에 테러 조직 등 무서운 조직을 만들어 놓고 있다”고도 했다. 이날 이후 ‘주사파 소동’이 시작됐다. 그는 주사파 5만명이 학계와 정당, 언론계, 종교계에서 암약하고 있다는 등 뉴스를 쏟아냈다. 엊그제 교학사 고교 한국사 집필자인 이명희 공주대 교수가 충격적인 발언을 쏟아냈다. 새누리당 ‘근현대사 역사교실’이란 모임에 나와서였다. 그는 “현재 좌파 진영이 교육계와 언론계의 70%, 예.. 더보기 무서운 게 역사다 역사는 왜 배우나. 리처드 패어스(1902~1958)란 영국 역사가가 색다른 말을 했다. “25살 미만의 청소년은 역사를 공부해서는 안된다.” 요즘 역사교육 강화다 수능 필수화다 해서 가뜩이나 부담이 큰 학생들이 솔깃해할 얘기 같다. 무슨 뜻으로 한 말일까. “좋은 역사(good history)는 돈이나 과학처럼 유익하지는 않지만, 나쁜 역사(bad history)는 세상에서 가장 파괴적인 무기보다 더 무서운 해독을 끼친다.” 다른 게 아니라 어린 정신에 주입되는 잘못된 역사교육의 해독을 고발한 것이다. 이런 패어스를 좀 삐딱한 좌파 역사학자라고 생각할지 모르나 그는 보수주의 사가다. 그는 ‘나쁜 역사’에 대해 경고했다. 여기서 역사는 사건 그 자체로서의 객관적 역사가 아니라, 책으로 기술된 주관적 역사.. 더보기 이전 1 ··· 62 63 64 65 66 67 68 ··· 1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