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태로운 민주주의, 무엇을 할 것인가 같은 곳에서 시차를 두고 열린 행사 두 개로 시작하자. 장소는 서울 서대문 독립공원이었고, 두 행사 모두 민주주의와 직결된 것이었다. 독립공원이 생소하다면 서대문 형무소 자리 하면 단박에 알아들을 거다. 독립공원은 1987년까지 서대문 형무소가 있던 자리에 조성됐다. 지난 11일 이곳에서 ‘갑오년 새해, 민주주의를 구하라’는 이름의 시국대회가 열렸다. 요즘 시국 집회가 흔하지만 이날 모임엔 특색이 있었다. 이른바 ‘민주화 세대’의 중장년층 시민들이 새해 첫 시국선언을 발표한 것이다. 여기엔 1만3451명이 연명했다. 이철 전 코레일 사장, 원혜영 민주당 의원 등 유신시절 민주화 운동 경험이 있는 인사들이 나왔다. 20여개 대학 민주동문회 회원 등 500명 가량이 모였다. 왜 모였나. ‘민주주의를 구하라’.. 더보기 희망은 잔인한 거다 희망은 잔인한 거다. 어째선가. 희망의 이름으로 현재의 고통을 유보하고 미래로 전가하기 때문이다. 그럼 현재 진행 중인 고통은 어쩌란 말인가. 서현이의 짧고 불행한 삶을 생각해도 그렇다. 지난 10월 ‘소풍을 가고 싶다’고 의붓엄마한테 말했다가 폭행을 당해 갈비뼈 16개가 부러지며 숨진 여덟 살 이서현양 말이다. 이 사건은 아동학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환기시켰다. 시민단체들은 진상조사와 제도개선위원회를 만들었다. 국회에선 아동학대 처벌을 강화하는 특례법 제정이 속도를 내고 있다. 하지만 죽은 서현이는 돌아올 수 없다. 내가 희망은 잔인한 거라고 말한 이유다. 서현이는 파란 꿈 한번 펼쳐보지 못한 채 떠나 그저 계기로, 교훈으로 남았다. 사람들은 다시는 비슷한 일이 일어나선 안된다며 미래의 희망을 말한다.. 더보기 [여적]YS 제명의 기억 시작은 김영삼 신민당 총재에 대한 의원직 제명이었다. 1979년 9월16일자 뉴욕타임스에 김 총재의 기자회견이 실렸다. 회견에는 “미국이 공개적이고 직접적 압력을 통해 박정희 대통령을 제어해줄 것”을 요구하는 내용이 들어 있었다. 때는 YH무역 노동자들이 신민당사에 들어와 부당 폐업 반대 농성을 벌이다 경찰의 폭력적 진압 과정에서 노동자 김경숙씨가 추락사하는 사건이 벌어진 엄혹한 유신 말기였다. 9월22일 공화당과 유정회는 회견 내용을 문제 삼아 소속 국회의원 160명 전원 명의로 징계동의안을 제출했다. 징계 종류는 제명으로 정했다. 징계 사유는 “국회의원으로서의 신분을 일탈하여 국헌을 위배하고 국가안위와 국리민복을 현저히 저해하는 허위사실을 유포하는 등 반국가적 언동을 함으로써 스스로 주권을 모독하여 .. 더보기 이전 1 ··· 55 56 57 58 59 60 61 ··· 1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