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정국가의 총리라면 모를까 문창극 총리 후보자의 과거 ‘친일, 반민족적’ 문제 발언들이 공개된 뒤 비판여론이 비등하고 있지만 옹호론도 만만치 않다. 옹호론은 크게 두 갈래다. 하나는 그 발언들을 맥락적으로 이해하면 큰 문제 될 게 없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기독교 장로로서 교회란 특별한 공간에서 한 발언임을 감안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말 그런가. KBS가 자극적으로 딱 특정 부분만 편집해서 보여줬으니까 그렇지, 뭐 그리 흥분할 일도 아닌 건가. 맥락적 이해란 말이나 문장은 어느 부분만 잘라내지 말고 전후 문맥을 살펴야 올바른 이해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윤상현 새누리당 사무총장이 그를 두둔한다며 이런 말을 했다. “정치인이 마음껏 말하듯 언론인들도 자유롭게 말한다. 그것이 민주주의다. 예전에 한 글과 말 몇 마디를 갖고 그의 .. 더보기
위태로운 민주주의, 무엇을 할 것인가 같은 곳에서 시차를 두고 열린 행사 두 개로 시작하자. 장소는 서울 서대문 독립공원이었고, 두 행사 모두 민주주의와 직결된 것이었다. 독립공원이 생소하다면 서대문 형무소 자리 하면 단박에 알아들을 거다. 독립공원은 1987년까지 서대문 형무소가 있던 자리에 조성됐다. 지난 11일 이곳에서 ‘갑오년 새해, 민주주의를 구하라’는 이름의 시국대회가 열렸다. 요즘 시국 집회가 흔하지만 이날 모임엔 특색이 있었다. 이른바 ‘민주화 세대’의 중장년층 시민들이 새해 첫 시국선언을 발표한 것이다. 여기엔 1만3451명이 연명했다. 이철 전 코레일 사장, 원혜영 민주당 의원 등 유신시절 민주화 운동 경험이 있는 인사들이 나왔다. 20여개 대학 민주동문회 회원 등 500명 가량이 모였다. 왜 모였나. ‘민주주의를 구하라’.. 더보기
희망은 잔인한 거다 희망은 잔인한 거다. 어째선가. 희망의 이름으로 현재의 고통을 유보하고 미래로 전가하기 때문이다. 그럼 현재 진행 중인 고통은 어쩌란 말인가. 서현이의 짧고 불행한 삶을 생각해도 그렇다. 지난 10월 ‘소풍을 가고 싶다’고 의붓엄마한테 말했다가 폭행을 당해 갈비뼈 16개가 부러지며 숨진 여덟 살 이서현양 말이다. 이 사건은 아동학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환기시켰다. 시민단체들은 진상조사와 제도개선위원회를 만들었다. 국회에선 아동학대 처벌을 강화하는 특례법 제정이 속도를 내고 있다. 하지만 죽은 서현이는 돌아올 수 없다. 내가 희망은 잔인한 거라고 말한 이유다. 서현이는 파란 꿈 한번 펼쳐보지 못한 채 떠나 그저 계기로, 교훈으로 남았다. 사람들은 다시는 비슷한 일이 일어나선 안된다며 미래의 희망을 말한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