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적] 이러다 민란 일어난다 옛 민중들의 삶이 잘 녹아든 것이 민란(民亂)의 역사다. 백성들은 생존을 위해 어쩔 수 없이 폭도가 되어 난을 일으켰다. 민중의 역사는 민란의 역사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1862년 진주지방 백성 8만여명이 경상우도병마절도사 백낙신의 학정을 못이겨 봉기한 것이 진주민란이었다. 1893년 전라북도 고부군수 조병갑은 만석보를 증축하며 군민을 수탈하고 부친의 비각을 세운다고 돈을 강제 징수하는 등 온갖 폭정을 자행하다 동학농민운동을 유발한 직접 원인이 되었다. 수탈이 심해 백성들의 삶이 피폐해진 곳에서는 민란이 일어나지만 그 난은 사회발전의 원동력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영화배우 문성근씨가 총선과 대선이 있는 2012년까지 야권 단일정당을 만들자며 이 운동에 ‘유쾌한 민란 프로젝트’란 이름을 붙였다. 다 좋은데.. 더보기 [여적] 코란 불태우기 거의 모든 종교가 용서를 가르친다.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것이 기독교다. 예수는 “너희 원수를 사랑하며 너희를 박해하는 자를 위하여 기도하라”고 말했다. 이런 가르침은 성경 안에 가득하다. “악을 악으로 갚지 말고 모든 사람 앞에서 선한 일을 도모하라”거나 “네 오른편 뺨을 치거든 왼편도 돌려대라”고까지 한다. “죄인이었던 우리를 하나님께서 용서해 주셨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죄와 허물 많은 인간이 영생과 천국을 소유하는 거룩한 은총을 입었으니 그렇게 살라고 한다. 유대교, 이슬람교, 불교 등 다른 종교들도 용서를 강조한다. 그런데 세상은 용서가 넘치기는커녕 갈수록 각박하고 살벌해지는 것 같다. 첫번째 이유야 사이비만 많고 제대로 된 신자가 없어서일 거다. 둘째는 종교가 겉으로는 용서를 말하면서도 다른 .. 더보기 신앙과 독선 사이 지난 개각을 두고 부실한 인사검증 시스템 얘기가 나오지만 근본 문제는 역시 대통령의 사람 보는 눈이다. 기어이 조현오씨를 경찰청장에 임명한 걸 보면 그렇다. 엊그제 심명필 국토해양부 4대강살리기추진본부장은 “짧은 기간에 성공하면 무수한 나라들이 관심을 가질 것”이라고 속도전에 대한 신념을 토로했다. 이것도 심명필이란 ‘아바타’가 아니라 주인 이명박의 확신이 문제일 것이다. 이명박 대통령은 독실한 기독교 신자다. 그는 자서전 에 “우리 식구의 일과는 새벽 4시에 시작됐다. 어머니가 우리 형제들을 전부 깨워 놓고 새벽기도를 드렸기 때문이다”고 썼다. 이런 모태신앙의 장로 대통령이 기독교의 영향을 받는 것은 지극히 당연하다. 그렇다면 이런 의문도 자연스럽다. 그의 통치행위와 정책에서 드러나는 독선적 모습이 신.. 더보기 이전 1 ··· 134 135 136 137 138 139 140 ··· 1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