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적] 날짜변경선 변경 며칠 전 이런 제목의 외신이 들어왔다. “사모아 내일로 이사한다.” 남태평양의 인구 21만명 섬나라 사모아가 내일로 이사하기로 했다는 것이다. 무슨 타임머신을 타고 시간여행하는 얘기가 아니다. 방법은 간단하다. 날짜변경선을 국토의 동쪽으로 옮기면 되는 것이다. 달리 말하면 현재 날짜변경선 동쪽에 붙어 있는 이 나라가 날짜변경선 서쪽으로 옮기면 그게 바로 내일로 이사하는 게 된다. 투일라에파 사일렐레 사모아 총리가 엊그제 이런 이사 계획을 발표했다. 이 특별한 이사는 오는 12월29일을 기해 결행될 것 같다고 한다. 이날 사모아가 날짜변경선을 동쪽으로 옮기면 사모아는 곧바로 하루를 건너뛰어 30일이 되며 자연스럽게 2012년 새해를 맞게 된다는 것이다. 날짜변경선 동쪽에서 서쪽으로 넘어가면 하루를 단숨에 .. 더보기
[여적] 광기 대 이성, 광기 대 광기 2006년 12월30일 사담 후세인 이라크 대통령이 처형됐을 때 경향신문은 ‘문명세계를 부끄럽게 한 후세인 전격 처형’이란 사설에서 “후세인의 처형은 미국과 부시 행정부의 위선을 백일하에 드러내는 반문명적, 반민주적 폭거였다”는 결론을 내렸다. 왜 그런가. 재판의 졸속, 불공정성 때문이다. 후세인은 항소심에서 형이 확정된 지 닷새 만에 형이 집행됐다. 집행일은 이슬람 최대 축제인 ‘알 아드하(희생제)’ 첫날로 이런 날 처형한 것은 이슬람 모욕으로 받아들여졌다. 그가 체포된 후 3년이 지나 전격 처형된 데는 미국의 입김이 절대적이었다. 미국이 학수고대하던 대량살상무기도 안 나왔고 전황은 악화일로였다. 부시는 중간선거에서 참패해 이라크 전략 수정 압력에 직면해 있었다. 후세인 처형은 좋은 돌파구였다. 처참한.. 더보기
[여적] 반성의 조건 관우가 명의 화타에게 수술을 받는다. 전투 중 팔에 독화살을 맞은 관우의 상처가 깊어 살을 도려내고 뼈를 긁어내는 수술을 해야 했다. 화타는 고통에 몸부림칠 것에 대비해 환자의 몸을 묶으려 했으나 관우는 괜찮다며 수술을 시킨다. 대신 관우는 측근 마량을 불러 바둑을 둔다. 화타의 이마엔 땀이 흘렀고 막사엔 낭자한 유혈 속에 뼈를 긁어내는 소리가 요란했지만 관우는 태연히 바둑에 열중했다. 삼국지의 유명한 진중(陣中) 수술 장면이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소설일 뿐이다. 마취도 없이 뼈를 깎는 수술을 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화타가 실제론 마비산(痲沸散)이란 마취제를 썼다는 말도 있다. 이 고사를 꺼낸 건 ‘뼈를 깎는 반성’이란 유래는 알 수 없되 유구한 세월 사용된 표현에 대해 얘기하기 위해서다. 반성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