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적] 독선적 신앙의 끝 팔레스타인 시인 다르위시(1941~2008)에게 희망은 ‘치유할 수 없는 질병’이었다. 그는 죽을 때까지 팔레스타인 해방과 독립에 대한 희망의 끈을 놓지 않았다. 그런데 어떤 사람에겐 종교적 독선이 치유하기 힘든 질병이다. 미국 플로리다주 시골 마을의 목사 테리 존스의 행태를 보면 그가 그런 불치병을 앓고 있다는 느낌을 준다. 그는 지난달 20일 이슬람 경전 코란을 피고로 모의재판을 벌인 뒤 이를 불태웠다. 코란 소각 장면을 인터넷으로 공개했다. ‘화형식’을 거행한 이유는 코란이 폭력을 부채질한다는 것이었다. 존스 목사가 코란을 갖고 소각 소동을 벌인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작년 9·11테러 9주년 때도 코란을 불태우는 행사를 예고했다가 오바마 대통령까지 나서 말리자 실행을 중단했다. 그러나 계획을 .. 더보기
[여적] 중산층 표심 손학규 민주당 대표가 좀체 안 할 것 같은 일을 벌였다. 경기 분당을 보궐선거에 출마했다. 분당은 한나라당 절대 강세지역이다. 역대 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에게 많은 표를 줘 민주당으로선 당선을 꿈꾸기 어려웠다. 탄핵 역풍으로 한나라당이 고전한 2004년 총선 때도 분당을은 꿋꿋하게 한나라당을 지지했다. 측근들은 “분당은 사지(死地)”라며 출마를 만류해 왔다고 한다. 그럼에도 손 대표는 ‘결사항전’을 다지며 정치생명을 건 승부수를 던졌다. 근사하다. 정치란 게 안전빵으로만 가면 재미가 없다. 필요할 땐 건곤일척의 결전도 벌이고 장렬하게 산화하기도 하는 거다. 속으로 그는 사즉생(死卽生)을 생각할 것 같다. 출마 선언 후 찾은 시장의 상인에게 “불구덩이로 가는 것”이라고 말했다고 한다. 노무현 전 대통령식의.. 더보기
[여적] 결사항전  한국인만큼 ‘결사(決死)’, 곧 ‘목숨 내놓고’란 말에 익숙한 국민도 없을 거란 생각이 든다. 툭하면 결사반대요, 결사저지다. 시위현장에 가 보면 안다. 농민들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결사반대하고 중소상인들은 동네에 대형마트가 들어오는 것을 결사반대한다. 제주도민들은 해군기지 건설을 결사저지하겠다고 시위를 벌인다. 정치판엔 또 결사 반대하고 저지하는 게 얼마나 많나. 심지어 해병대 훈련병 현빈의 연평도 자대 배치 가능성에 팬들이 결사반대를 외치고 있다고도 한다. 이렇게 우리에게 결사란 말은 일상적 레토릭이 됐지만 본뜻을 생각하면 그리 쉽게 쓸 게 아니다. 죽기를 각오하고 있는 힘을 다해 반대하는 데는 대단한 각오와 결의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결사반대를 외치다 금세 조용해지는 여러 사례들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