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위로받을 곳이 없구나 순복음교회는 “조용기 목사가 지진 피해에 대한 안타까움을 표시하기 위해 말한 것이 의도가 잘못 전달된 것 같다”고 해명했지만, 그게 조 목사의 속마음을 제대로 전달한 건지는 의문이다. 성직자인 그가 정치인 흉내를 내 “진의가 잘못 전해졌다”거나 “본인을 음해하려는 정치공세”라는 식의 뻔한 거짓말을 하고 싶진 않았을 것이다. 따라서 그가 일본 지진에 대해 “하나님을 멀리하고 우상숭배, 무신론, 물질주의로 나가기 때문에 (나온) 하나님의 경고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고 말한 것은 진심이었다고 본다. 그 말이 저 유명한 ‘예수천당, 불신지옥’이란 구호, 한국 보수 기독교의 단순명쾌한 사고구조를 정확히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조용기 목사 | 경향신문 DB 사회비평가 진중권은 조 목사에 대해 “정신병자 목사.. 더보기
[여적] 리비아 ‘내전’  리비아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내전’이란 말이 심심치 않게 입에 오르내리고 있다. 리비아 유혈 사태를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는 해결책 모색과도 통한다는 점에서 우리가 내전이란 용어를 제대로 쓰고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리비아 사태는 42년에 걸친 카다피의 철권통치에 저항하는 시위로 촉발되었다. 이 점에서는 튀니지, 이집트 등에서 일어난 민주화 운동과 같다. 그런데 전개 양상이 다르다. 이웃 나라들은 비교적 순탄하게 ‘아랍 시민혁명’을 쟁취했지만 리비아는 극심한 유혈 사태에 빠져들었다. 무한한 권력집착가인 카다피가 군 장악력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지금 리비아에서 벌어지는 상황이 내전과 비슷해 보이는 것이다. 그럴 만한 요소들이 있다. 사람들이 매일같이 죽어가고 있다. 외신은 이를 두고 피바.. 더보기
[여적] 체 게바라의 추억 1951년 12월 아르헨티나의 젊은이 두 명이 모터사이클 여행에 오른다. 23세인 체 게바라와 6년 연장인 알베르토 그라나도를 실은 낡은 오토바이는 ‘포데로사(힘센 녀석)’로 명명됐다. 컴백이란 강아지도 동승했다. 두 사람은 8개월 동안 칠레, 페루, 콜롬비아, 베네수엘라를 거치며 남미 대륙을 북상한다. 무일푼 여행으로 때론 아마존강에 ‘맘보탱고’란 뗏목을 띄우고 낭만에도 젖었으나 이들에게 다가온 건 헐벗은 남미의 비참한 현실이었다. 페루 산파블로 나환자촌에 2주간 머물면서 값싸고 기본적인 의료혜택도 못 받는 원주민들의 박탈당한 삶을 목격했다. 의학도와 생화학도인 이들은 환자들을 돌보고 가난한 서민들의 삶을 체험하며 미래의 소명(召命)을 깨닫는다. 체는 혁명가로서, 알베르토는 자연과학도로서. 이 여행 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