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김철웅 칼럼

계기를 모르는 정권은 실패한다 윤창중 전 청와대 대변인의 성추행 의혹사건이 대충 넘어가는 분위기인데 그래선 안된다. 미국에서 윤 대변인이 경질된 지 20일이 지났다. 박근혜 대통령이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대국민 사과를 하기는 했다. 그러나 국민에게 끼친 충격을 생각하면 백배사죄해도 모자랄 판이었건만 자기반성이 빠졌다. 그 뒤 언론사 정치부장들과의 만찬에서 앞으로 인사시스템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그뿐이다. 한국이 사건·사고가 넘치는 ‘다이내믹 코리아’인 건 정평이 나 있다. 아무리 그래도 레테의 강으로 흘려보낼 일과 그러지 말아야 할 일이 따로 있다. 윤창중 사건은 사후 처리를 단단히 마무리해야 할 일이다. 발생지 미국에서의 사법처리 얘기가 아니다. 우리 편에서 철저한 사태수습을 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미국 경찰의 수사 결과를 지켜보.. 더보기
봄날은 가고, 음악이 위로다 ‘봄날은 간다’는 불후의 명곡이다. “연분홍 치마가 봄바람에 휘날리더라…”를 들을 때 가장 한국적인 연분홍의 진달래꽃이 저절로 떠오른다. ‘겨울나무’란 동요가 있다. ‘나무야 나무야 겨울나무야’로 시작하는 가사가 동요답지 않게 심오하다. 특히 2절이 그렇다. “평생을 살아봐도 늘 한자리/ 넓은 세상 얘기도 바람께 듣고/ 꽃피던 봄 여름 생각하면서/ 나무는 휘파람만 불고 있구나.” 이 정도면 ‘학의 다리가 길다고 자르지 말라’고 한 가 생각난다. 노래로 말문을 연 건 음악 얘기를 하고 싶어서다. 우리는 때로 위로받고 싶다. ‘삐에로’처럼 웃어야 하는 900만 감정노동자들만 그런 게 아니다. 기자도 광의의 감정노동자다. 싫은 뉴스라도 듣고 챙겨야 한다. 뉴스의 감옥에 갇혀 ‘쇼는 계속돼야 한다’를 강요당하는.. 더보기
굿바이 티나 20년 전 필자의 러시아 여행에 대한 회상으로 시작하자. 모스크바대 연수 중 훌쩍 떠나온 크림반도 심페로폴의 카페에서 귀에 익은 팝송이 흘러 나왔다. 메리 홉킨의 ‘도즈 워 더 데이즈(Those Were The Days)’였는데, 보컬 그룹이 러시아어로 부르고 있었다. 동행한 러시아 친구에게 “팝송을 러시아어로 부르네”라고 했다가 면박을 당했다. 이 곡은 원래 러시아 노래 ‘다로고이 들린노유(머나먼 길)’였다. 메리 홉킨이 1968년 번안해 불러 유명해진 것이다. 원곡도 애절한 사랑의 추억에 관한 것이었지만, 번안한 가사도 썩 훌륭하다. 18세 웨일스 시골뜨기 소녀를 일약 세계적 스타로 만든 것은 청아하고 호소력 짙은 목소리와 함께 가슴에 절절하게 와닿는 노랫말일 것이다. 결코 끝날 것 같지 않던 행복한.. 더보기
인간존중을 위한 ‘보도지침’ 팔레스타인 시인 마무드 다르위시(1941~2008)에게 희망은 불치병이었다. 2002년 3월 이스라엘의 공격이 벌어지는 팔레스타인에 파견된 국제작가회의(IPW) 대표단 앞에서 그는 감동적 환영사를 한다. “우리에겐 희망이라는 치유할 수 없는 병이 있습니다. 해방과 독립에의 희망 말입니다.” 그는 희망들을 열거했다. 자식들이 안전하게 등교하는 희망, 임산부가 군 검문소 앞에서 죽은 아기를 낳는 게 아니라 병원에서 산 아이를 낳는 희망, 시인들이 피가 아니라 장미에서 빨간색의 아름다움을 느끼게 될 날에 대한 희망…. 시인이 희망을 불치병으로 은유한 사연을 소개한 것은 많은 사람들이 절망이란 불치병을 앓고 있는 우리 현실을 돌아보기 위함이다. 그 병이 깊어 소중한 삶을 스스로 포기하는 이들이 너무나 많기 때문.. 더보기
유전자 정권 일본 분자생물학자 후쿠오카 신이치가 쓴 은 ‘왜 어른이 되면 시간이 빨리 지나가는 것일까’란 의문을 재미있게 설명한다. 물리적 시간 1년은 세 살 때나 서른 살 때나 같은 속도로 흘러가지만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신진대사 속도가 늦어진다. 즉 몸속 ‘체내시계’가 서서히 느려진다는 뜻이다. “반년 정도 지난 줄 알았는데 벌써 1년이 지났냐”며 깜짝 놀라게 되는 것은 이 때문이다. 이명박 정권 5년이 지나가고 새 정권이 들어섰다. 언제나 끝나나 했는데 지내고 보니 그야말로 쏜살이다. 내 나이 50대 후반이니, 후쿠오카 교수의 이론이 맞긴 맞나보다. 5년 전 이명박 정권 출범 때 ‘쏠림의 시대’란 칼럼을 쓴 게 엊그제 같으니까. 지난 정권을 규정하는 핵심어, 열쇳말은 속도전 정권이 적당할 것 같다. 4대강 사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