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적] 안철수식 레토릭 “There’s no need to watch the bridges that were burning(불타는 다리를 바라볼 필요는 없어요).” 크리스 크리스토퍼슨이 부른 추억의 팝송 ‘포 더 굿 타임’에서 헤어져야 하는 연인들은 마지막 시간을 보내며 이렇게 다짐한다. “그냥 기뻐하기로 해요/ 함께할 수 있는 시간이 우리에게 조금이나마 남았다는 걸.” 그 다음 나오는 게 ‘불타는 다리’다. 맥락으로 보아 다리는 지난 일들에 대한 미련 같은 것이리라. 미련을 버리고 그 순간의 사랑에 충실하자는 뜻 같다. 안철수 대선 후보가 ‘다리를 불태운다’는 표현을 사용했다. 엊그제 정상화를 위한 행사에 참석한 그에게 사회자 김미화씨가 “(대선을) 끝까지 완주할 것인가”라고 물었다. 그의 대답은 “제가 지난주 수요일(출마선.. 더보기 [여적] 새희망홀씨 가수 진미령의 ‘하얀 민들레’란 노래를 아는 사람은 알겠지만, 슬픈 노래를 경쾌한 리듬에 맞춰 잘도 불렀다. 왜 슬프냐 하면 이런 가사 때문이다. “나 어릴 땐 철부지로 자랐지만/ 지금은 알아요 떠나는 것을/ 엄마 품이 아무리 따뜻하지만/ 때가 되면 떠나요 할 수 없어요/ 안녕 안녕 안녕 손을 흔들며/ 두둥실 두둥실 떠나요/ 민들레 민들레처럼/ 돌아오지 않아요 민들레처럼.” 슬픈 노래를 웃으며 부르는 것은 일종의 테크닉이다. 민들레 홀씨처럼 ‘때가 되면 떠나고, 돌아오지 않는’ 운명을 웃으며 노래함으로써 우는 것보다 더 절묘한 콘트라스트가 이뤄진다. 내친김에 민들레 노래 하나 더. 박미경은 ‘민들레 홀씨 되어’란 노래를 불렀다. 화자는 강둑에 홀로 앉아 임을 회상한다. “어느새 내 마음 민들레 홀씨 되어.. 더보기 [여적] 참람죄 ‘참람(僭濫)하다’라는 말이 있다. 사전적으론 ‘분수에 넘쳐 너무 지나치다’는 뜻이지만 기독교에서는 사뭇 다른 뜻으로 쓰인다. 바로 신을 욕되게 하는 것, 즉 신성모독과 같은 의미다. 예수가 십자가에 처형된 것도 하나님을 욕되게 한 죄, 곧 참람죄를 저질러서이다. “대제사장이 가로되 네가 찬송 받을 자의 아들 그리스도냐. 예수께서 이르시되 내가 그니라. … 대제사장이 자기 옷을 찢으며… 그 참람한 말을 너희가 들었도다. 너희는 어떻게 생각하느뇨 하니 저희가 다 예수를 사형에 해당한 자로 정죄하고….”(마가복음 14장) 유대인들은 신을 모독하지 말라는 계율을 엄격히 지켰다. 구약 레위기에 따르면 신성모독의 징벌은 돌로 쳐 죽이는 것이었다. 예수 당시의 군중들로서 하나님과 동등하다고 여기는 사람을 참람죄로 .. 더보기 이전 1 ··· 86 87 88 89 90 91 92 ··· 1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