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적] 반복되는 역사 두 개의 사건이 있다. 2001년 4월1일 남중국해 하이난섬 부근 공해상에서 미국 해군 소속 EP-3 정찰기가 중국 젠-8 전투기와 충돌했다. 중국 전투기는 추락해 조종사가 사망했고, 미국 정찰기는 하이난섬에 비상착륙해 승무원 24명이 중국 당국에 억류됐다. 지난달 19일 센카쿠(尖閣)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상공에서 작전 중인 미군 공중조기경보통제기(AWACS)에 대해 중국 난징군구 소속 젠-10 전투기 두 대가 긴급 발진해 집요한 추격전을 벌였다고 아사히신문이 엊그제 보도했다. 이 와중에 일본 전투기까지 긴급 발진하는 등 상당한 긴장이 조성됐다고 한다. 2001년 중국 연안에서 중국 전투기와 충돌사고를 일으킨 미국 해군 EP-3 정찰기와 동종기종의 모습 미군 정찰기와 충돌한 후 추락한 중국군 젠-8 .. 더보기
[여적] 용산 '사건' 작년 가을 우리 동부전선에서 터진 깜짝 놀랄 사건을 기억할 것이다. 북한 병사가 3중철책을 넘어 최전방 소초 문을 두드려 탈북의사를 밝힌 사건이다. 충격적인 이 사건은 ‘노크 탈북’으로 세간에 알려져 있으나 처음부터 그런 건 아니었다. 경향신문도 10월11일자 1보에선 ‘북한군 병사가 내무반 문 두드릴 때까지도 몰랐다’고만 보도했다. 사건이 ‘노크 탈북’으로 회자된 건 그 며칠 후부터다. 누가 처음 붙인 건지는 모르나 ‘노크 탈북’은 사건 성격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썩 잘 지은 사건명 같다. 군에야 두고두고 불명예스러운 이름으로 남겠지만. 언론은 크고 작은 사건들을 압축적으로 요약·정의하는 표현을 쓰곤 한다. 그게 빠르고 생생한 뉴스를 전해야 하는, 사건을 먹고사는 저널리즘의 생리다. 그러다 보니 특정.. 더보기
[여적] 세로명찰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 사람에게 이름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보여주는 속담이다. 중국에도 ‘기러기는 날아가면 울음소리를 남기고, 사람은 죽으면 좋은 명성을 남긴다’란 말이 있다. 아무렴 태어나 입신양명(立身揚名), 곧 사회적으로 출세하여 세상에 이름 드날리기를 바라지 않는 사람이 있겠는가. 이런 세상에선 이름 석자를 세상에 알리는 도구인 명찰, 이름표도 중요하다. 명찰은 때로 자부심의 이유가 되기도 하는데 특히 제복 문화에 그런 경우가 많다. 가령 빨간명찰은 해병대의 상징이다. 그래서 해병대원들에겐 빨간명찰을 뺏기는 것을 굉장한 치욕으로 여기는 정서가 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연전에 해병 모 부대에서는 후임병을 구타한 가해병사가 빨간명찰을 회수당한 일이 있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