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간존중을 위한 ‘보도지침’ 팔레스타인 시인 마무드 다르위시(1941~2008)에게 희망은 불치병이었다. 2002년 3월 이스라엘의 공격이 벌어지는 팔레스타인에 파견된 국제작가회의(IPW) 대표단 앞에서 그는 감동적 환영사를 한다. “우리에겐 희망이라는 치유할 수 없는 병이 있습니다. 해방과 독립에의 희망 말입니다.” 그는 희망들을 열거했다. 자식들이 안전하게 등교하는 희망, 임산부가 군 검문소 앞에서 죽은 아기를 낳는 게 아니라 병원에서 산 아이를 낳는 희망, 시인들이 피가 아니라 장미에서 빨간색의 아름다움을 느끼게 될 날에 대한 희망…. 시인이 희망을 불치병으로 은유한 사연을 소개한 것은 많은 사람들이 절망이란 불치병을 앓고 있는 우리 현실을 돌아보기 위함이다. 그 병이 깊어 소중한 삶을 스스로 포기하는 이들이 너무나 많기 때문.. 더보기
[여적] 세습 또는 찝찝함 노회찬 진보정의당 공동대표 부인 김지선씨(58)가 그제 노 대표의 의원직 상실로 공석이 된 서울 노원병 국회의원 보궐선거 출마를 선언했다. 그의 출마는 지난해 총선에서 타계한 남편의 지역구(도봉갑)에서 당선된 민주통합당 인재근 의원(59)의 경우와 통하는 데가 있다. 삶의 궤적도 그렇다. 인 의원은 이화여대를 나와 인천 부평 봉제공장에 위장취업해 있던 중 긴급조치 위반으로 수배중이던 남편을 만나 결혼했다. 애틋한 러브스토리도 전해진다. 인천에서 가난하게 태어난 김씨는 대성목재, 대우전자, 서진악기 등에서 일하며 노동운동을 하다 이 지역에서 노동운동 중인 남편과 만났다. 하지만 선거에선 결정적으로 차이가 나는 게 있다. 인 의원은 새누리당 후보를 큰 표차로 따돌리고 여유 있게 당선됐다. 반면 김씨는 4·2.. 더보기
유전자 정권 일본 분자생물학자 후쿠오카 신이치가 쓴 은 ‘왜 어른이 되면 시간이 빨리 지나가는 것일까’란 의문을 재미있게 설명한다. 물리적 시간 1년은 세 살 때나 서른 살 때나 같은 속도로 흘러가지만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신진대사 속도가 늦어진다. 즉 몸속 ‘체내시계’가 서서히 느려진다는 뜻이다. “반년 정도 지난 줄 알았는데 벌써 1년이 지났냐”며 깜짝 놀라게 되는 것은 이 때문이다. 이명박 정권 5년이 지나가고 새 정권이 들어섰다. 언제나 끝나나 했는데 지내고 보니 그야말로 쏜살이다. 내 나이 50대 후반이니, 후쿠오카 교수의 이론이 맞긴 맞나보다. 5년 전 이명박 정권 출범 때 ‘쏠림의 시대’란 칼럼을 쓴 게 엊그제 같으니까. 지난 정권을 규정하는 핵심어, 열쇳말은 속도전 정권이 적당할 것 같다. 4대강 사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