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적] 밀실과 광장 현대자동차 사내하청 노동자 최병승·천의봉씨가 정규직 전환을 요구하며 울산공장 앞 송전탑에 오른 지 4일로 200일째를 맞았다. 지상 25m 높이에서 참 긴 시간을 버텼다. 가을에 올라간 게 칼바람 부는 겨울을 거쳐 봄이 되었으니까. 이런 농성 장기화는 누구도 예상 못했다. 최씨도 “이렇게 길어질 거라고 생각했으면 올라오지 않았다”고 말할 정도다. 최씨는 한 신문에 기고한 글에서 자신들이 머물고 있는 공간을 ‘2평 남짓한 하늘 위’라고 표현했다. 그 사이 청와대 주인이 박근혜 대통령으로 바뀌었다며, “얼마나 많은 시간이 지나야 내려올지 모르는 막막함을 견디고 있다”고 말했다. 현대자동차 사내하청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요구하며 지난해 10월 송전탑에 올라간 최병승씨(오른쪽)와 천의봉씨가 고공농성 200일을 .. 더보기
[여적] 구로공단의 추억 1967년 준공된 한국 최초의 공단, 구로공단은 국가 경제에 큰 역할을 했다. 그 주역은 우리의 어린 누이들이었다. 그들은 부모와 오빠·동생 뒷바라지를 위해 봉제, 섬유, 가발 공장 등지에서 땀을 흘렸다. 1985년 말쯤 필자는 구로공단 봉제공장에서 야근 중인 여성 노동자들을 취재한 적이 있다. 그때 한 소녀한테서 “2년 만기 10만원짜리 적금을 붓고 있다”는 말을 듣고 “100만원이라고요?”라고 되물었다가 무안해진 일이 기억난다.구로공단은 노동자들이 치열한 삶을 꾸린 터전이었지만 대학생들의 의식화 현장이기도 했다. 진보정의당 심상정 의원은 이 공단에 미싱사로 취업해 동맹파업을 주도했다. 1978년 출간된 조세희의 에 나오는 ‘은강공단’도 구로공단에서 영감을 얻은 듯하다. 작가는 2004년 구로동에서 노.. 더보기
[여적] 조하르 두다예프의 기억 보스턴 테러가 터진 후 필자의 눈길을 끈 것은 조하르란 이름이었다. 범인으로 지목된 차르나예프 형제 중 형 이름이 타멜란(26·사망), 동생이 조하르(19)다. 이 이름은 나를 체첸 대통령 조하르 두다예프(1944~1996)의 기억으로 이끌었다. 구소련에서 체첸이 배출한 유일한 공군장성(소장)인 그는 소련이 붕괴하자 체첸 독립운동에 나섰다. 1994년엔 러시아가 침공하자 처절한 민족해방 전쟁을 벌였다. 그는 사생관이 뚜렷한 지도자였다. 러시아는 그를 제거하기 위해 안간힘을 썼지만 그는 이따금씩 기자회견을 했다. 1995년 초 한 신문이 “기자를 가장한 러시아 비밀정보원의 접근이 두렵지 않냐”고 묻자, 돌아온 대답은 “나의 생명은 정보원이나 러시아 정부가 아니라 신에게 속해 있다”는 것이었다. 이렇게 대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