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목차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더보기
복고풍, 왜 다시 부나 다시 복고풍이 불고 있다. 복고풍(復古風)은 과거의 모습으로 되돌아간 제도나 풍속 또는 그런 유행을 뜻한다. 그것이 영화와 TV 드라마·예능 프로그램을 비롯해 음식과 가전제품에까지 번지고 있는 것이다. 지난 연말과 연초에 방영된 MBC ‘무한도전-토요일 토요일은 가수다’(토토가)는 1990년대 유행했던 가요들을 무대에 올림으로써 20년 전 가요의 붐을 일으키는 계기가 됐다. 물론 ‘토토가’만을 갖고 복고풍이 불었다고 말할 순 없다. 몇 해 전 시작한 ‘나는 가수다’(MBC), ‘불후의 명곡’(KBS2) 같은 음악 프로그램이 이미 가요 복고 바람의 한 줄기를 형성하고 있었다. ‘토토가’에 소개된 노래들 영화 ‘국제시장’과 ‘쎄시봉’이 흥행에 성공한 것도 대중문화계의 복고 바람으로 볼 수 있다. 이보다 앞서.. 더보기
블루스와 우리 노래의 한 “지난 한 세기 동안 서양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위로의 노래를 들라면 나는 블루스를 들겠다. 블루스를 음악적으로 정의하자면 Ⅰ-Ⅳ-V7이란 단순 코드 진행을 기초로 해서 12마디 혹은 16마디 악절로 이뤄진 형식을 말한다. 가사의 내용은 무엇이든 가능하다.…하지만 원래는 불운을 맞아 곤경에 처하게 된 사람을 노래했다. 그래서 블루스는 사람들에게 위로를 준다. 슬픈 사람이 슬픈 음악을 듣고 기분이 나아지게 됨을 보여주는 예다.”【주1】 미국의 뇌 과학자 대니얼 레비틴이 쓴 책 ‘호모 무지쿠스’에서 한 말이다. (나는 가요 칼럼들을 쓰면서 그의 책 ‘호모 무지쿠스-원제는 The World in Six Songs:How the Musical Brain Created Human Nature’와 ‘뇌의 왈츠-원제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