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문로] 송민순 회고록을 '색깔론'으로 오해한 까닭 작년 가을 송민순 전 외교통상부 장관이 낸 회고록 '빙하는 움직인다'가 '종북' 논란으로 번졌을 때, 처음 느낌은 의아함이었다. 색깔론은 보수우파를 가장한 극우세력의 전유물이다. 한데 특이하게 이번 색깔론은 원인 제공자가 노무현 정부에서 외교부 장관을 지낸 인물이었기 때문이다. 선거판에서 종북·색깔론의 파장은 무시 못 한다. 지난 대선 하루 전날 김무성 새누리당 중앙선대위 총괄본부장이 조작된 NLL(북방한계선) 포기 발언 남북정상회담 회의록을 낭독했던 걸 기억한다. 내 의아함은 '그런 사정을 모를 리 없을 송 전 장관이' 왜 그랬을까였다. 어디까지나 처음 느낌이 그랬다는 말이다. 회고록이 나오자 우파들은 기다렸다는 듯 유력 대선 후보인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공격하고 나섰다. 정진석 당시 새누리당.. 더보기
[논객닷컴] 혁명이 얼마나 어려운지 아는가 혁명일까 아닐까. 뜨겁게 타올랐던 촛불집회 말이다. 많은 기사나 칼럼들이 ‘촛불혁명’이란 표현을 썼는데, 맞는 걸까? 엄밀히 말해 촛불은 사전적 개념의 혁명이 아니다. 혁명은 ‘헌법의 범위를 벗어나 정치적, 경제적 체제를 근본적으로 고치는 것’이다. 거기까지는 가지 않았다. 항용 혁명에 수반되는 유혈사태도 없었다. 그럼에도 ‘촛불혁명’이라고 부르는 까닭은 무엇일까. 일종의 은유다. 옛것을 깨뜨리고 새로운 것을 세우고 싶은 희망을 표현한 것이다. 역사적으론 피를 흘리지 않은 영국 명예혁명도 있었다. 또 중요한 한 가지, 그것이 이룬 엄청난 결과 때문이다. 박근혜가 대통령직에서 파면되고 구속까지 된 것은 상상조차 힘든 일이었다. 오로지 촛불 덕분에 가능했다. 그 바람에 대선도 다음달 치른다. 모두가 촛불의 .. 더보기
[논객닷컴] 논증 없는 주장의 허망함 사람들은 여러 가지 ‘주장’을 하며 산다. 이때 필요한 것이 근거(또는 이유) 제시다. 예를 들자. “대한민국 최고 미남은 장동건이다.” 뜬금없이 이 말만 하는 것은 그냥 취향 고백이다. 이것이 주장이 되려면 근거가 뒷받침돼야 한다. 미남의 기준은 이러저러하다는 생각을 밝히고, 장동건이 거기에 맞는다는 것을 증명하면 된다. 책 ‘유시민의 글쓰기 특강’에 나오는 말이다. 책은 “주장은 반드시 논증하라”고 말한다. 적절한 근거를 제시하지 않고 주장만 하면 억지소리나 궤변으로 들린다. 논증이란 관점에서 박근혜 대통령 탄핵 사건을 보려 한다. 그 결과는 ‘촛불 민심’의 승리였지만, 패자 측의 지리멸렬한 대응이 자초한 것이기도 했다. 박 대통령 자신이 그랬고, 헌재에서 변호를 맡은 대리인들은 한 술 더 떴다. 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