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문로] ‘에레나가 된 순희’와 방위비 분담금 며칠 전 한미 양국은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 협정에 서명했다. 한국이 낼 분담금은 1조389억원으로 지난해보다 8.2% 올랐다. 많이 오른 것도 문제지만 협정 유효기간은 1년으로 돼 있어 이르면 올 상반기에 다시 협상을 시작해야 한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각료회의에서 “한국의 분담금은 몇 년 동안 더 오를 것”이라며 추가 증액 압박을 공언했다. 미국 언론도 바쁘다. 워싱턴포스트는 차기 협상에서 미국이 ‘주둔비용+50’ 공식을 꺼낼 수 있다고 보도했다. 주둔국에 주둔비용은 물론 이 비용의 50%를 더 부담시키겠다는 것이다. 우리 정부의 분담액은 미군 주둔비 전체의 대략 절반으로 추산되므로 그렇게 되면 분담액이 최대 3조원으로 늘어날 수 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대사가 8일 서울 .. 더보기
[신문로] 할머니가 조선학교에 기부한 까닭 일본 도쿄 치요다구 문부과학성 앞에서는 매주 금요일이면 ‘금요행동’ 집회가 열린다. 재일 조선학교 차별을 반대하고, 민족교육 탄압 중지를 요구하는 행사다. 참가자는 일본의 조선대학생 등인데 2013년 5월부터 시작돼 지난해 말로 250회를 넘어섰다.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수요일마다 27년째 열리고 있는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 촉구 수요집회에 비해 규모는 작지만 열기는 그에 못지않다. 참가자들은 조선학교에 고교 무상화 제도를 적용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고등학교에 해당하는 조선고급학교가 고교 무상화 제도에서 배제되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 정부는 2010년 학생 1명당 12만엔~24만엔의 취학 지원금을 주는 제도를 도입했다. 그러나 조선학교는 예외다. 조선총련과 밀접한 관계라거나, 조선학교는.. 더보기
[논객닷컴] ‘안개비’ 노래와 인공강우 비는 문학과 노래에 자주 등장한다. 헤밍웨이의 ‘무기여 잘 있거라’에서 비는 중요한 설정이다. 소설 마지막은 “나는 병원을 떠나 빗속을 걸어 호텔로 돌아왔다”로 끝난다. 하드보일드 문체의 대가는 사랑하는 여인이 자신의 아기를 낳다 숨지는 비극적 장면을 이렇게 마무리했다. 비는 비극, 허무, 죽음을 상징했지만 작가는 그런 감정 표현을 절제하고 이 건조한 문장을 택했다. 김소월의 시 ‘왕십리’도 떠오른다. “비가 온다/ 오누나/ 오는 비는/ 올지라도 한 닷새 왔으면 좋지//여드레 스무 날엔/ 온다고 하고/ 초하루 삭망이면 간다고 했지/ 가도 가도 왕십리 비가 오네…”. 시인이 구태여 계절을 밝히지는 않았지만 이 비는 장맛비 같다. ‘가도 가도 비가 오는’ 왕십리에서 우리는 시가 노래하는 이별의 정한(情恨)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