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적] 어른 그늘 속의 아이들 롤링 스톤스가 부른 ‘눈물은 흐르는데(As Tears Go By)’에서 ‘나’는 어느 저녁 아이들이 노는 것을 바라본다. “아이들은 웃고 있지만 날 위해 웃는 건 아니었다. 아이들이 노래 부르는 걸 듣고 싶었지만, 들리는 건 땅에 떨어지는 빗소리뿐. 아이들은 내가 예전에 자주 했던 놀이를 하고 있었고, 바라보는 내 눈에선 눈물이 흐른다….” 듣는 사람마다 해석이 다르겠지만, 그 눈물엔 아마도 돌아갈 수 없는 어린 시절에 대한 그리움과 회한이 뒤섞여 있었을 거다. 그렇다, 어린 시절은 어른에게 그리움이며 회한이다. 워즈워스가 시 ‘무지개’에서 “하늘에 걸린 무지개를 바라보면 내 마음은 마냥 뛰누나”라며 “아이는 어른의 아버지”라고 결론 내린 건 순수에 대한 무한한 동경의 표현이었다. 한 시골학교에서 성탄절.. 더보기
[여적] 일관성과 변절 사이  박정희는 변신의 귀재였다. 일제 때 창씨개명도 두 차례나 했다. 1940년 만주군관학교 시절 박정희의 창씨명은 다카기 마사오였는데 일본 육군사관학교에 편입했을 때는 창씨명을 완전히 일본사람 이름처럼 보이는 오카모토 미노루로 바꾸었다고 한다. 일제 만주군으로 복무하다 귀국 후 육군 장교가 돼 남로당에 비밀 가입했다. 1948년 여순반란사건 때 체포돼 군법회의에서 사형을 선고받았다. 자신이 알고 있는 군부 내 남로당원 명단을 군 특무대에 실토해 살아남았다. 박정희의 처신은 굴곡진 현대사 속에서 특출나게 변화무쌍한 것이지만, 누구나 어느 정도씩 소신과 생각을 바꾸며 살아간다. 자의든 타의든 그렇다. 엄밀하게 말해 초지일관한 삶이란 불가능하다. 그렇다면 사람의 일관성엔 벗어나도 되는 허용치란 게 있을까. 변신에.. 더보기
[여적] 지도자의 착각 정치지도자와 연예인은 비슷한 속성이 있다. 대중의 인기를 먹고 산다는 점이다. 무슨 서울시장 후보의 지지도니, 차기 대권주자의 지지도니 하는 것도 따지고 보면 가수나 배우의 인기도와 별반 차이 없다. 지역구민, 국민에게 얼마나 지지를 얻느냐는 정치인에게 사활적 의미를 지닌다. 민심이 떠나버리면 정치생명도 그걸로 끝이란 뜻에서다. 이 때문에 정치인은 끊임없이 민심에 집착한다. 이 집착이 심해지면 민심이 떠난 지 오랜데도 국민이 자신을 지지하고 있다는 착각에 빠지기도 한다. 리비아의 독재자 카다피가 이런 착각에 빠진 채 비참한 최후를 맞았다고 한다. 카다피의 마지막 순간을 함께한 개인 경호원의 증언에 따르면 카다피는 반군에게 트리폴리가 함락된 뒤에도 “리비아 국민은 나를 사랑한다”고 믿었다. 이 때문에 권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