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문로] '예측불허'의 대통령을 보고 싶다 16년 만의 여소야대를 이룬 총선 결과를 두고 정치권과 언론이 수많은 논평과 보도를 쏟아냈지만 청와대는 조용했다. 총선 닷새만에 박근혜 대통령이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침묵을 깨고 말했다. "총선 결과는 국민의 민의가 무엇이었는가를 생각하는 계기가 됐다고 생각한다. 앞으로 민의를 겸허히 수용하고 국회와 긴밀히 협력하겠다." 곧바로 이번 칼럼의 주제가 떠올랐다. 칼럼 게재날짜를 통보받으면 며칠은 고민해 주제를 정했지만 이번엔 수월했다. 박 대통령의 '예측 가능성' 덕분이다. 예측 가능성은 두 가지 측면에서다. 하나는 총선 패배에 대한 그의 언급이 예측 가능한 선이었다는 것, 또 하나는 앞으로도 무슨 예측불허는 없을 것 같다는 것이다. 이 생각은 어제 청와대에서 열린 언론사 편집·보도국장 오찬 간담회에서도 확인.. 더보기
[논객닷컴] 안철수, 끝내 양비론 못 벗어나나 ‘이쪽도 틀렸고 저쪽도 틀렸다’는 양비론(兩非論)은 기자들에게 친숙한 존재다. 논설위원을 오래 지낸 필자도 사설이나 칼럼을 쓰며 양비론의 유혹을 느낀 적이 많았다. 가령 두 주장이 팽팽히 맞서 누가 옳은지 판단이 쉽지 않을 때, 제일 편한 논리가 양비론이다. 양쪽을 준엄하게 꾸짖는 거다. 그래놓고는 양쪽에게 ‘시급하게 대안을 마련하라’고 촉구하는 식으로 끝낸다. 그러면 객관적 입장에 서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양비론만 펴면 만사가 다 오케이인가. 아니다. 사안에 따라 어떤 주의·주장의 시비를 집요하게 따지고 고민해야 할 때도 있다. 안철수 국민의당 공동대표가 4일 열린 한국방송기자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패널들 질문에 “야권 연대는 없다”고 대답하고 있다. ©포커스뉴스 새누리당 돕는 야권연대 거부··· .. 더보기
대통령 ‘존영’ 표현, 어디가 어때서 지난주 새누리당 대구시당이 대통령 사진을 ‘존영(尊影)’이라는 옛날식 높임말로 불렀다는 문제로 세상이 시끄러웠다. 권위주의 시대의 잔상이니, 시대착오적이라느니 해가며 말이다. 요며칠 살펴보니 보수 진보 할 것 없이 비판 일색인데, 정말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르는 소리다. 분명히 이런 일방적 비판이 부당하다고 여기는 침묵하는 다수가 있다고 믿는 바, 이들을 대변하기 위해 분노의 필을 든다.  첫째, 우선 대통령 존영 반납을 요구한 대구시당부터 살펴보자. 당 관계자는 “대통령 사진은 엄연히 정당 자산이며, 탈당하면 해당 자산을 정당에 반납하게 되어 있다”고 말했다고 한다. 아아, 이 공사 구분의 엄정함이여. 비록 공무원은 아니지만 집권 공당의 당직자란 점에서 그의 판단은 공무를 다루는 모든 사람이 귀감으로 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