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적

[여적] 도발과 응징만으로 어찌 관계를 풀겠나 성인이 아니고서야 한 대 맞으면 맞은 만큼 돌려주고 싶은 법이다. 그래야 직성(直星)이 풀린다. 개인들 사이만 아니다. 보복심리는 국가 간에도 발동한다. 북한의 연평도 무력 도발에 대해 “북의 못된 버릇은 강력한 응징으로 다스릴 수밖에 없다. 미친 개는 몽둥이가 약”이라는 주장도 인지상정의 발로일 것이다. 왜 아니겠는가. 2001년 미증유의 9·11 테러가 일어나자 미국은 국민적 분노로 들끓었다. 언론은 ‘미국이 공격당했다’고 흥분했다. 미국 본토가 외부로부터 처참한 공격을 받은 것은 처음이었다. 부시 대통령은 즉각 이 테러에 대한 보복을 천명하고 이를 ‘21세기 첫 전쟁’으로 규정했다. 곧장 오사마 빈 라덴과 알 카에다를 용의자로 지목하고 빈 라덴이 숨어 있는 아프가니스탄에 대한 보복전쟁에 들어갔다. .. 더보기
[여적] 고고학과 속도전  고고학은 시간과의 싸움이다. 속도전을 펴야 한다는 뜻이 아니라 시간을 초월해야 하는 학문이란 점에서다. 그래서 고고학자들에게는 느긋하고 참을성 많은 성정이 요구된다. 그러지 못해 발생한 희대의 ‘참사’가 있으니 1971년 백제 무령왕릉 발굴이다. 고고학자 김원룡이 생전에 자전에세이 에서 밝힌 회고담이다. “일본의 어느 유명한 고고학자는 그런 행운은 백년에 한번이나 올까말까 하다고 축하해 주었다. 이 엄청난 행운이 그만 멀쩡하던 나의 머리를 돌게 하였다. 이 중요한 마당에서 고고학도로서 어처구니 없는 실수가 일어난 것이다.” 발굴단장 김원룡은 무령왕릉 처녀분이 1450년의 기나긴 잠에서 깨어나는 엄청난 사건이 펼쳐지는 데 압도돼 버렸다. 그 바람에 “몇 달이 걸렸어도 나무 뿌리들을 가위로 하나 하나 베어내.. 더보기
[여적] 권력과 언론의 야합 엊그제 MBC 가 희한한 사건을 보도했다. MBC는 박철환 전남 해남군수가 호화 관사를 구입했다는 제보를 받아 취재 중이었다. 박 군수는 이 취재팀을 가로막고 한사코 어디론가 끌고가려 갔다. 알고 보니 목적지는 군수가 취임 전까지 살았다는 허름한 집이었다. 기자는 그가 청렴함을 과시하려는 뜻이었다고 해석했다. 이 과정에서 군수한테서 놀라운 말이 튀어나왔다. “야, 신문기자 너희들도 좀 따라와. ○○신문 기자들도!” 말투만 보면 기자들은 부하직원이나 마찬가지였다. 더욱이 어느 주재기자는 취재팀에게 전화까지 걸어와 군수를 옹호했다고 한다. 사건 자체는 흔하디 흔한 지방자치단체장 비리 의혹이다. 따라서 희한한 건 사건의 본질이 아니라 취재 중 기자가 겪은 일이다. 그런데 이것 또한 따지고 보면 희귀한 일이라 .. 더보기
[여적] 너무 높은 비정규직 비율 한국 경제의 핵심적 난제는 비정규직 문제다. 부익부 빈익빈의 양극화도 따지고 보면 비정규직 문제와 직결돼 있다. 한국은 이 비정규직 비율이 너무 높다. 33.6%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12.34%)의 3배 가까이 된다. 그것도 임시·일용 근로자를 제외했을 때이고 이들까지 포함시키는 노동계 통계로는 49.8%로 정규직 비율 50.2%와 비등하다. 정규직 월평균 급여는 266만원, 비정규직은 123만원이다. 이렇게 비정규직이 많고 임금격차가 심한 나라는 한국뿐이다. 비정규직 문제가 얼마나 심각하기에? 한마디로 전방위적 비정규직화다. 엊그제 문화일보에 따르면 새로 도입된 입학사정관제도에도 비정규직이 판치고 있다. 대학 47곳의 전임 입학사정관 342명 중 275명(80.4%)이 비정규직 신분이었다.. 더보기
[여적] 논리와 비논리 문화비평가 진중권이 란 기발한 제목의 책을 낸 게 벌써 10여년 전이다. 알려진 대로 이 책 제목은 극우논객 조갑제의 박정희 전기 를 패러디한 것이다. 그런 만큼 책은 ‘박정희교’로 상징되는 우익들의 박정희 숭배와 한국 사회에 온존한 파시즘적 요소들에 대해 신랄한 비판을 가하고 있다. 특이한 것은 진중권이 우익들을 비판하기 위해 우익들의 논리를 즐겨 차용한 점이다. 책은 우익들이 쓴 텍스트에서 뽑은 인용으로 가득 차 있다. 진중권은 이를 “제 입으로 한 말을 제 입으로, 자신이 내세우는 논리로 뒤집고 반박하려는” 텍스트 해체 전략과 관계 있다고 밝히고 있다. 그에 따르면 이는 이 주제들이 학적 비판의 대상이 되지 못 하기 때문이다. 가령 그는 당시 망명한 지 얼마 안되는 주체사상 이론가 황장엽을 통해 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