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일신문 칼럼

[신문로] 대북 제재로 고통받는 건 누구일까

유엔 안보리가 북한의 연간 수출액 1/3 가량을 차단시키는 등 '역대 최강'의 새로운 대북 제재 조치를 취했다. 그러나 북한은 미국을 향해 "천백배로 결산(보복)"하겠다고 으르댄다. 궁금해진다. 대북 제재로 고통받는 건 누구일까. 구체적으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인가 북한 '인민'인가.

솔직히 내 관심사는 제재가 얼마나 효과를 거둘 것인가가 아니다. 그보다는 제재로 북한 '인민'의 고통이 얼마나 더 커질 것이냐 쪽이다.(우리 실정법은 북한을 국가로 인정하지 않으므로 북한 사람을 '국민'이 아닌 '주민'으로 부른다. 그러나 국호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인 북한에서 '국민'에 해당하는 적절한 표현은 '인민'이다.)

'누가 더 고통받나'라고 묻는 게 우문(愚問) 같긴 하다. 2003년 이라크 침공 때 미국은 '정권과 주민의 분리'라는 해괴한 논리를 동원했다. '후세인 축출을 통한 이라크의 민주화'가 필요하다는 명분으로 장기간의 경제 봉쇄를 정당화했다. 그러나 둘을 분리한다는 건 불가능한 일이었다.

지도자가 실정을 하면 국민이 크게 고생한다는 건 보편적 진실이다. 여기에다 북한에는 특수사정도 있다. 나는 이따금 북한이 개미들과 같은 '초개체(superorganism) 사회'란 생각을 해본다. 초개체란 하나의 목적을 위해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는 유기적 결합체다. 북한은 개인의 생명보다는 사회정치적 집단의 생명이 더 귀중한 것이라고 선전한다. 사회구성원 전체가 왕조처럼 수령을 떠받든다.

의식 표현방식 대체로 이중적

 

평양 주재 AFP 기자가 북한의 버스 정류장의 모습을 모아 보내왔다. 대부분의 평양 주민들은 버스와 무궤도전차, 지하철 등을를 이용해 출퇴근을 한다. 버스요금은 북한 돈으로 5원, 미화로 0.1센트 정도이다. 평양/AFP 연합뉴스

외신기자가 본 북한의 오늘

평양 주재 AFP 기자가 북한의 버스 정류장의 모습을 모아 보내왔다. 총을 든 여학생 모습이 이채롭다. 평양/AFP 연합뉴스



'북한 미사일 위기'에 즈음해 한 신문 웹페이지에 북한 관련 사진 수백장이 실렸다. 평양 주재 AP AFP 기자가 찍은 버스 정류장 등 거리 풍경이었다. 인민들의 일상생활과 생각을 관찰하고 유추하는 데 좋은 자료였다.

새삼 느낀 것은 그들의 삶이 우리와 크게 다른 것 같지 않다는 점이다. 그곳에도 출퇴근하는 삶, 문화생활, 레저가 있었다. 출근하는 시민들을 태운 무궤도 전차는 꽤 만원이었다. 옷차림도 우리와 비슷했다.

물론 다른 것도 있다. 버스를 기다리는 교복 차림 여학생 손에 소총이 들린 모습이 낯설었다. 평양 시민들이 광장에 설치된 대형 화면을 통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장면을 주시하거나, 학생들이 발사 장면에 환호하는 사진도 있다. 다양한 직업의 남녀들이 지도자 김정은과 조국을 위해 헌신하고 싶다고 말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런 '충성맹세'나 환호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을까.

이런 게 전체주의 속 단선적 삶의 고뇌 아닌가. 사회주의 체제에서 의식표현 방식은 대체로 이중적이다. 미국 정치학자 티머 쿠란은 이를 '선호위장'이란 개념으로 설명한다.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국가가 요구하는 방식대로 행동하지만 사적인 자리에서는 달라진다는 것이다.

1994년 7월 김일성 사망 때 북한 사람들은 시신이 안치된 금수산에서는 광적으로 울다가 일상생활에서는 웃고 농담을 했다. 필자가 모스크바 특파원으로 일할 때 이타르 타스 통신 평양 특파원을 지낸 지인에게서 들은 얘기다. 요즘 ICBM 발사에 환호하는 북한 주민들의 모습도 얼마든지 이중적일 수 있다.

평양에서는 올 4월 대규모 호화 아파트 단지인 여명거리가 준공됐다. 82층 아파트도 이곳에 세워졌다. 그러자 대북 제재 무용론이 제기됐다.

 

 

올해 1월 완공을 앞둔 평양 여명거리를 돌아보는 김정은. 그 뒤에서 웃고 있는 북한 권력자들은 이런 신도시 개발의 최대 수혜자들이기도 하다. 동아일보 DB

죽어나는 것은 북한 인민들이란 추론

탈북자 출신인 동아일보 주성하 기자는 최근 기사에서 "핵 미사일 개발로 어떠한 대북 제재가 시작돼도 김정은과 권력자들이 의기투합한 신도시 개발이란 투기판은 계속될 것이다"라고 전망했다. 이런 전망대로라면 대북 제재로 죽어나는 것은 불쌍한 북한 인민, 민초들일 뿐이란 추론이 가능하다. 이라크에서 그랬던 것처럼.

황석영이 정부 허가 없이 북한을 다녀온 뒤 '사람이 살고 있었네'란 방북기를 쓴 게 1989년이다. 가보니 거기도 사람이 살고 있더라는 지극히 평범한 깨달음이었다. 그 뒤 상당한 세월이 흘렀음에도 북한에 대한 인식은 '사람이 살고 있었네' 수준보다 도리어 더 후퇴하고 희미해진 것 같다.

정치 사회적 요인이 있을 것이다. '우리의 소원은 통일' 노래도 옛날보다 덜 부르게 된 것 같다. 이런 세태에서 북한에도 우리와 다를 게 없는 삶이 존재한다는 생각이나마 되살려 보는 것은 어떨까. 

2017-08-09 11:29:50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