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적

[여적] 지하생활자의 수기

언론은 빈발하는 새로운 양상의 범죄들에 적절한 작명을 하느라 분주하다. 절망, 증오, 분노, 묻지마, 자포자기 같은 수식어들이 범죄·살인 앞에 붙곤 한다. 이들 범죄는 각양각색이지만 공통 코드가 있다. 외톨이형 범죄란 것이다. 견해가 다를 수도 있겠으나 나주 아동 성폭행 사건도 그 범주다. 범인이 오랜 기간 PC방을 전전해왔고, 게임광이었다는 점에서다.

여의도 칼부림 사건이나 의정부역 흉기 난동은 비교적 ‘신종’이란 이유에서 미국, 일본에서 발생한 선례들과 비교 분석되기도 한다. 여의도에서 전 직장동료와 행인들에게 마구 칼을 휘두른 김모씨 사건은 일본의 도리마(通り魔) 사건과 비슷하다고 한다. 분노 대상을 공개 ‘응징’한 것 등 미국형 다중살인을 닮았다고 보기도 한다. 총이 아닌 칼을 사용했다 뿐, 영락없이 미국식 총기난사 사건이라는 것이다.

 

 

                                              도스토예프스키, 또는 지하생활자         -그린 사람 미상 

 

절망형 은둔자는 주로 쪽방, 고시원, 지하방 등에서 혼자 산다. 도스토예프스키의 소설 <지하생활자의 수기>에 등장하는 ‘나’와 비교해볼 만하다. 소설은 이렇게 시작한다. “나는 병든 인간이다. … 나는 악한 인간이다. 생각건대 간에 이상이 있는 것 같다. … 내가 치료 받기를 원치 않는 것은 증오심 때문이다. … 나는 이미 오랫동안 이런 식으로 약 20년간을 살아왔다. …” 1864년 나온 이 소설은 무기력하고 자의식 넘치는 독백으로 가득 차 있다. 물론 그는 지식인이며 고립상태에서 증오에 시달리지만 무슨 범죄를 실행하지는 않는다는 점이 다르다. 하지만 작가는 결국 <죄와 벌>(1866년)에서 살인을 통해 초인사상을 실현하려다 실패하는 라스콜리니코프를 창조한다.

시대와 사회적 배경은 달라도 ‘지하생활자’는 항상 있었다. 도스토예프스키 때 지하생활자는 물질문명과 전체주의를 냉소하지만 무기력한 지식인이었다면, 이 시대의 지하생활자는 고시원에 틀어박혀 절망과 증오를 쌓아가는 신용불량자나 게임과 음란물에 중독된 외톨이들일 수 있다. 더욱이 한국 사회는 이 사회적 낙오자, 절망형 은둔자들을 ‘양산’하는 체제다. 청년실업, 가계부채, 신용불량, 비정규직, 사회안전망 등 모든 지표가 그 이유를 말해준다. 높은 자살률과 절망범죄는 동전의 양면 같은 것이다. 거기에다 대고 그저 엄벌을 촉구하고 불심검문이나 부활하자는 건 참으로 하지하의 방책이 아닐 수 없다.

'여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적] 참람죄  (0) 2012.09.20
[여적] 슬픈 1위  (0) 2012.09.10
[여적] 도량 베풀기의 조건  (0) 2012.09.03
[여적] 집권당의 견강부회  (1) 2012.08.24
[여적] 아메리카노, 커피 심부름 논쟁  (2) 2012.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