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김철웅 칼럼

애국심은 위험하다

애국심은 거룩한 것이다. 그런데 영국 문필가 새뮤얼 존슨(1709~1784)은 “애국심은 악당의 마지막 도피처”라고 악담을 했다. 지금도 심심치 않게 인용되는 이 말은 왠지 의미심장하게 들린다. 그러나 무슨 생각에서 이 말을 했는지는 분명치 않다. 앞뒤 맥락이 제시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사실인즉 존슨이 이 말을 했다고 세상에 알린 사람은 그의 전기를 쓴 동시대인 제임스 보스웰이었다. 보스웰은 존슨이 비난한 건 전반적 애국심이 아니라 가짜 애국심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한편 사전 편찬자이기도 했던 존슨도 비슷한 얘기를 했다. 자신이 만든 영어사전에 ‘애국자’에 대해 “가짜 주화를 가려내듯 외관만 그럴듯한 가짜 애국자를 가려야 한다”고 썼다. 애국자를 자처하면서 당파적 분란만 일으키는 행태를 비판하기도 했다. 이쯤 되면 존슨이 뭘 말하려 했는지가 어느 정도 파악된다.

 

 

          영국 문필가 새무얼 존슨. "애국심은 악당의 마지막 도피처"란 유명한 언명을 남겼다.

 


애국심에 관해서라면 박근혜 대통령의 애국심을 의심할 사람은 별로 없을 거다. 아버지의 서거 소식을 듣고도 제일 먼저 한 말이 “전방은요”였다고 한다. 투철한 국가관·안보관이 몸에 배어 있음이다. 2006년쯤 김무성 당시 한나라당 의원에게 어떤 기자가 “왜 박근혜 전 대표를 지지하느냐”고 물었더니 대답은 “정치인 가운데 박근혜만큼 애국심이 깊은 사람은 없다”였다고 한다. 그러면서 덧붙인 말이 재미있다. “MB는 한참 뒤떨어진다. 자기 생각만 하고 산 사람 아닌가.”

김 의원의 말이 아니더라도 박 대통령은 정말 나라 생각만 하고 사는 것 같다. 지난달 말 수석비서관 회의에서도 3년 전 연평도 사태 때 “휴가를 포기하고 복귀한 장병들의 애국심”을 치하했다. 안보를 지키는 데 무기보다 훨씬 중요한 건 “국민들의 애국심과 단결”이라고도 했다.

대통령이 뜨거운 애국심으로 단결을 호소하는데 나라는 왜 이리 분열로 치닫는 것인가. 답은 애국심 자체가 아니라 어떤 애국심이냐에서 찾을 수 있다. 존슨이 설파했듯 만약 가짜 애국심이라면 ‘악당의 마지막 도피처’로 전락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애국심의 독선성이다. 국정 운영이 독선·불통인데 나라사랑마저 자기만의 방식을 고집한다면 문제가 심각해진다. 애국심은 결코 특정인이나 집단의 전유물이 될 수 없다. 애국의 길, 방법론은 여러 가지인 것이다. 그걸 인정하지 않고, “이것만이 애국”이라 외치는 독선적 애국심, 이를테면 ‘애국독점주의’는 때로 아주 위험하다. 남이 하는 애국은 애국이 아니고, 내 것만 진짜 애국이라는 독선은 자칫 독재와 파시즘으로 가는 길이다.

 

                          안중근 의사가 남긴 ‘국가안위노심초사(國家安危勞心焦思)’ 유묵 



안중근 의사의 유묵 가운데 ‘국가안위노심초사(國家安危勞心焦思)’란 게 있다.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뒤 1910년 뤼순감옥에서 순국하기 전 남긴 것이다. “국가의 안위를 걱정하며 애태운다”라는 글엔 풍전등화 같은 나라의 위기를 염려하는 애국정신이 절절히 흐른다. 나는 이 휘호를 천주교 순교성지인 서소문 공원에서 처음 접했다(원본은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 있다). 경찰이 설치한 입간판 안보 포스터에 사용됐는데, ‘함께하는 안보의식 행복한 대한민국’이란 표어와 함께였다. 안 의사의 휘호가 천주교 성지에서, 하필 범죄·간첩신고 독려 표어에 쓰였다는 게 심한 부조화로 여겨지긴 했다. 하지만 어쩌겠는가. 안보 포스터로 적절하다는 게 경찰의 판단인 것을.

민주주의는 생각의 다양성을 존중하는 데서 출발한다. 저 사람이 추구하는 애국적 가치에 동의하지 않더라도 최소한 인정해 주는 거다. 애국심이라고 해서 무슨 금단의 성역이 아닌 것이다.

박정희는 1940년 23세 때 교직을 팽개치고 만주군관학교에 입교해 충직한 일본제국의 군인이 된다. 장준하는 1944년 26세 때 일본 학병을 탈출해 중국군 유격대에 가담하면서 독립운동가로 나선다. 지금 새삼 두 사람의 인물론을 펴려는 게 아니다. 둘의 운명은 결국 독재자와 민주투사로 갈렸지만 다카키 마사오 생도를 움직인 것도 긴 안목으로 본 애국의 길이었을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하자는 것이다.

한국 사회가 지금 급속히 공안시대로 가는 것을 두고 여러 갈래 분석이 가능하지만 이 애국적 가치에 대한 편협한 이해가 중요 원인이 되고 있다고 본다. 그래서 국가안보를 지킨다는 명분 아래 공안시대 종북몰이를 정당화하는 데 애국심이 동원되는 것이다. 9·11 테러 후 미국이 제정한 패트리엇법(애국자법)은 무제한적 개인정보 접근을 허용하는 등 민주주의에 대한 중대 위협이란 비판을 받았다. 긴 법이름의 두문자를 딴 이 법은 미국인들의 애국심을 결집하자는 의도였지만, 오도된 애국의 전형적 사례로 비판받았다.

 

실로 애국자들이 넘쳐나는 공안시대다. 대통령의 애국심이 전염성이 강한 탓에 소나 개나 애국을 부르짖는 것 같다. 그럴수록 찬찬히 살펴보고 진짜와 가짜 애국심을 헷갈리지 말아야 한다. 예리한 감식안이 필요한 이유다.



김철웅 논설실장

'김철웅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태로운 민주주의, 무엇을 할 것인가  (0) 2014.02.04
희망은 잔인한 거다  (2) 2013.12.25
민주주의를 위한 ‘내전’  (0) 2013.11.13
송전탑 밑에서  (0) 2013.10.23
국민적 저항, 누구 몫인가  (2) 2013.10.02